728x90

     

    글 : 친절한아띠 / 이미지 : google / twitter


    안녕하세요. 친절한아띠 예요.

     

    며칠전에 BTS(방탄소년단)이 밴 플리트상을 받은 것에 대해 많은 곳에서 이슈가 되었죠. 특히나 중국의 반응이 아주 그냥 뭐 같은 반응이였죠. 사실 밴 플리트상이 무엇인지에 대해 저도 모르고 있었고, 이번 기회에 알게 되어 포스팅을 통해 1번 더 복습도 해보고 모르는 분들께 알려드리고자 합니다. 

     

     

    1. 제임스 밴 플리트 James A. Van Fleet

     

    2. 밴 플리트상

     

    3. 중국이 말하는 개소리 '항미원조'

     

     

    제임스 밴 플리트

    제임스 올워드 밴 플리트 장군

    출생지 - 미국 뉴저지주 
    복무 기간 - 1915년 ~ 1953년
    최종 계급 - ★★★★ 대장
    주요 참전 - 1차 세계대전, 2차 세계대전, 그리스 내전, 한국 전쟁(6.25)

     

    상 이야기를 한다더니, 왜 갑자기 미국의 군인(장군)을 소개하는거지? 하셨을 겁니다. 바로 이 분께서 창설한 코라이 소사이어티에서 1995년부터 한미관계의 우호 증진에 기여한 사람에게 '밴 틀리트 상'을 수여하고 있기 때문입니다. 

     

    밴 플리트 장군은 '북한의 남침'에 의해 일어난 6.25 전쟁에 제8군을 지휘로 1951년 4월 참전하게 됩니다. 중국 인민지원군의 물량공세 때문에 고전을 하던 시기였는데. 밴 플리트 장군은 포병들의 탄약통제보급율을 5배로 늘려서 중국군을 그냥 쓸어버리게 만듭니다. 그리고, 한국군의 양적, 질적 향상을 위해 미국 웨스트포인트의 교육훈련제도를 도입한 4년제 육군사관학교를 재창설하게 되어, 현재 한국군의 아버지로 불리고 있습니다.

     

    밴 플리트 장군의 외동아들 '제임스 A 밴 플리트 주니어'는 신혼임에도 6.25 전쟁에 참전하고 있었습니다.
    제3폭격비행단 제13폭격비행대대 소속의 공군 대위로 B - 26 폭격기를 조종하였으나, 전쟁 중 실종 되었습니다.
    코리아 소사이어티?


    한미 상호간의 이해와 협력 증진을 목표로 하는 비영리 단체.
    1957년 제임스 밴 플리트 장군의 제안으로 미국 저명 인사들에 의해 창설.

     

     


     

     

    밴 플리트상

    source : koreasociety

    밴 플리트상은 1995년 부터 매년 대한 학회 연례 만찬에서 수상자에게 공식적으로 수여되는 상인데요. 위에 밴플리트 장군의 이름을 따서 만들어 졌습니다. 지금까지 인물,단체 포함해서 41번의 수상이 있었고, BTS가 2020년 수상자가 된 것이죠. 기업 회장, 대통령, 군인 등등 한미 관계에 크기 기여하신분들께서 받으셨습니다.

     

    공식 사이트를 가시면 1995년부터 수상하신분들의 이력을 볼 수 있습니다.

     

    코리아 소사이어티 밴 플리트상 목록 바로가기

     

     


     

    중국은 왜 그랬을까? - 한국전쟁에 대한 역사왜곡

    이번 중국 반응들을 찾아보면 중국인들은 '항미원조' 라는 말을 쓰면서, BTS 를 욕하고 한국을 욕하기 바쁩니다. 그래도 세계적으로 대차게 까이고 지금은 다시 조용해졌더라구요. 

     

    중국인들이 말하는 항미원조란?
    미국이 북한을 공격해서, 중국인 북한을 도와줬다. 

     

    이게 뭔 개소리야!!!!!

     

    북한이 선전포고도 없이 남침하여 벌어진게 6.25 전쟁이고, 부산 까지 밀리고, UN, 미군, 여러 국가들의 도움과 인천상륙작전으로 다시 치고 올라가서..통일 될 뻔...할때.. 중국이 끼어들어서 개판이 되어버렸죠. 

     

    하지만 저런 구라를 중국인들은 믿고 있습니다. 그렇기 때문에 저런 반응을 보이는 겁니다.

    중국의 역사왜곡이 심각하다고 볼 수 있죠.

     

     

    728x90
    •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
    •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
    • 페이스북 공유하기
    •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